<aside>
💡
원본 다운로드
오픈서베이 - 온라인 쇼핑 트렌드 리포트 2025.pdf
</aside>


1. 전반적 시장 상황
- 쿠팡·네이버쇼핑 투톱 체제가 여전히 굳건합니다. 쿠팡은 여러 품목을 ‘자주+묶음’ 으로 사는 소비자들이, 네이버쇼핑은 **‘한 번에 고가’**로 결제하는 소비자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죠.
- 토스쇼핑이 요즘 눈에 띄는 다크호스로, 주로 “토스 앱 둘러보다가 탭 발견” 방식으로 처음 인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여성층이 이벤트·프로모션에 특히 더 쉽게 반응하는 모습도 보이죠.
- 과거 알리·테무가 불태웠던 글로벌 저가 쇼핑 플랫폼 열풍은 잦아들고, 이제 국내에서는 **“토스쇼핑 한 번 써볼까?”**라는 흐름으로 옮겨가는 분위기입니다.
2. 소비자들의 “조금이라도 싸게 사려는” 노력
- 가격비교(쇼핑몰 간 최저가 검색), 할인 행사 타이밍을 노리는 건 기본 중의 기본.
- 카드 할인, 멤버십 포인트 적립, 신규 가입 쿠폰 활용 등 “나름의 지혜”를 총동원해 모두들이 합리적 소비를 꿈꾸고 있습니다.
- 가성비 제품을 찾으며 때로는 가품 우려와 해외배송 이슈가 있는 알리나 테무에서 벗어나, 쿠팡·네이버·자사몰로 회귀하는 경우도 적잖습니다.
3. 주요 온라인 쇼핑몰·앱별 특성
- 쿠팡
- 장점: 배송이 빠르고 품목이 다양함.
- 구매 패턴: 1회에 여러 물건을 동시에 담아 구매하는 편(1회 평균 2.8개).
- 불만 늘어난 점: 포장/배송 상태가 미흡해졌다는 불만이 전년 대비 증가.
- 네이버쇼핑
- 장점: 검색과 비교가 손쉽고, 멤버십 적립 등 혜택이 좋다는 반응.
- 구매 패턴: 1회에 고가 제품을 몰아서 산다는 특징(1회 평균 지출 약 6만 원).
- 불만 늘어난 점: 고객불만 접수 과정이 번거롭다고 느낌.
- 카카오쇼핑
- 장점: 카카오페이 결제 편의성, 이벤트 프로모션.
- 한계: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고, 타 플랫폼에 비해 상품 다양성이 아쉽다는 의견.
- 토스쇼핑
- 장점: 결제가 매우 편리하고, 이벤트·프로모션이 많아 이용하게 된다는 응답이 많음.
- 구매 패턴: 1회 평균 구매 금액이 3만 원 미만, 소액·단품 위주.
- 불만: 배송 속도나 상품 다양성 측면에서 다소 부족하다고 느낌.